Cha4SEr Security Study

[CTF-D_Disk] 판교 테크노밸리 K기업에서… #1,2 본문

Forensic/CTF-D_Disk

[CTF-D_Disk] 판교 테크노밸리 K기업에서… #1,2

Cha4SEr 2020. 6. 2. 17:03

문제 링크 : http://ctf-d.com/challenges

 

[DigitalForensic] with CTF

 

ctf-d.com

 

시나리오 :판교 테크노밸리 K기업에서 기밀유출 사건이 발생했다. 현재 용의자의 시스템을 조사하는 중이다. 용의자의 인터넷 사용 패턴으로 용의자의 관심사를 파악하고자 한다. 용의자가 가장 많이 접근했던 사이트의 URL(http://aaa.bbb.cccc/)과 해당 URL에 마지막으로 접근한 시간(UTC+09:00)을 알아내시오.

 

문제 :

#1 : 용의자가 가장 많이 접근했던 사이트의 URL은?
      KEY Format : URL(http://aaa.bbb.cccc/)

 

#2 : 해당 URL에 마지막으로 접근한 시간은?

      KEY Format : yyyy-MM-dd_hh:mm:ss

 

 

 

사용 툴 : IE10Analyzer.exe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 

 

#1 : 용의자가 가장 많이 접근했던 사이트의 URL은?

      KEY Format : URL(http://aaa.bbb.cccc/)

 

[그림 1] 문제 파일

 

문제 파일에는 각 사용자별로 디스크에 남아있는 폴더와 파일이 존재합니다. 다른 User들은 Default나 Public으로 구성되어 있고, 의심해볼만한 사용자는 7ester로 보입니다. 해당 폴더에 들어가봅시다.

 

 

[그림 2] 7ester 프로필 폴더

 

7ester의 프로필 폴더가 나옵니다. 주어진 문제는 용의자가 접근했던 사이트의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기에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했던 기록들을 살펴보면 될 것 같습니다.

 

인터넷 익스플로러 기준 웹 브라우저에 남는 로그 파일 및 경로는 다음과 같습니다.

[그림 3] IE 브라우저 로그 파일

 

기본적으로 위에 나와있는 폴더에서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실제로 들어가보니 분석할 파일이 마땅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ㅜㅜ 

 

그래서 같은 경로에 있는 폴더를 몇개 찾아 보다가 WebCache라는 폴더를 발견했습니다!

 

[그림 4] WebCache 폴더

 

[그림 5] WebCacheV24.dat

 

해당 폴더에서 분석해볼만한 WebCacheV24.dat 파일을 발견했습니다. 이제 이 파일을 분석해볼건데 
사용 툴은 IE10Analyzer.exe 라는 툴입니다. 

 

http://moaistory.blogspot.com/2016/08/ie10analyzer.html

 

IE10Analyzer

IE10Analyzer   This tool can parse normal records and recover deleted records in WebCacheV01.dat.   WebCacheV01.dat is used in Inte...

moaistory.blogspot.com

 

위 링크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. 실행을 시키고 WebCacheV24.dat 파일을 드래그 앤 드랍으로 열어봅시다.

 

[그림 6] IE10Analyzer_1

우선 가장 처음에 나오는 설정들은 디폴트로 그대로 놔두시고 Open 을 누릅니다.

 

[그림 7] IE10Analyzer_2

 

다음 시간 설정하는 부분이 나오는데, 문제에서 UTC+9 라고 했으니 똑같이 맞춰주고 save를 누릅니다.

 

[그림 8] IE10Analyzer_3

 

파일을 열면 왼쪽에 보이는 각 항목별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. 가장 만만해 보이는 History를 클릭해 봅시다.

 

 

[그림 9] IE10Analyzer_4

History 탭에서는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기록한 정보들을 보여주는데, Access Count는 방문 횟수를, AccessTime은 마지막 방문 시간을, URL은 방문한 URL을 나타냅니다. 문제 1의 가장 많이 방문한 URL과 문제2의 마지막 방문 시간 모두를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 

가장 많이 방문한 URL을 파악하기 위해 AccessCount가 가장 높은 URL을 찾아봅시다.

[그림 10] IE10Analyzer_5

 

AccessCount가 가장 높은 URL은 519번의 Count가 된 http://www.hanrss.com/ 으로 발견되었습니다!

 

AccessedTime도 확인하기 위해 더블 클릭을 한 후 찾아보면

 

[그림 11] AccessdTime

 

해당 시간은 2012-08-30 14:59:49 로 발견되었습니다. 

 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 

 

#1 : 용의자가 가장 많이 접근했던 사이트의 URL은?
      KEY Format : URL(http://aaa.bbb.cccc/)

 

=> URL(http://www.hanrss.com/ )

 

#2 : 해당 URL에 마지막으로 접근한 시간은?

      KEY Format : yyyy-MM-dd_hh:mm:ss

 

=> 2012-08-30_14:59:49

 

Comments